- *혼란하되 다스리지
못하면 버릇없는 아들과 같아서 지도자 인성 오덕 쓸모가
없게 된다.*
- 孫武는 오사[五事]의 네번째를
"將"이라하여 그 조직의 수장을 선택함에
있어 오덕을 강조하고 있다.어떤사람이 지도자로서
적격인물인가를 정하는 것은 인간관리학,지도자론등의
저서들이 많아서 그만큼 대체롭고 여러가지 방법이
있을수 있지만 그러한 內容처럼 完壁한 인물이 이 세상에
몇사람이나 존재하는 것인지 한낱 理想論을 가지고
指導者를 選擇하는 것은 더욱 어렵다고 생각한다.
- 孫子는 이미 理想的 指導者를 찾는
不可能한 방법을 止揚하고 사람마다 가지는 여러가지
人性을 분류하여 다섯가지로 나누어 그중에 한가지만이라도
갖춘다면 將 즉 指導者로서의 기본자질은 갖추었다고
간주하였으며 다만 이를 적재적소에 活用하는 것을
兵法의 骨子로 삼았다.
- 智慧
- 孫子가 말한 五德이라 함은 智,信,仁,勇,威를
말하는데 "智"라함은 智謀라고 하여 情勢와
事理를 냉정히 판단하고 이에 대처하는 탁월한 計策을
세우는 일을 맡게 하는데 오늘에 있어서 작전계획이니
전략이니 하는것 들은 모두 智謀를 갖춘 指導者들이
꾸며내는 것으로 智謀를 갖춘자들 끼리의 競爭은 곧
勝利의 확율을 높일 수 있는 契機가 된다. 勞使간에
爭議戰略을 짜고 이에 응수하는 계획과 씨나리오를
구성하는 것은 모두 智謀가 탁월한 勞組指導者나 經營指導者
에 의하여 세워지는데 오늘에 있어서는 智謀를 갖춘자라
하더라도 개인의 靈感이나 天性에 영향을 받는다기보다는
科學的知識과 이를 잘 활용하는 機智가 함께 동원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信義
- 다음으로"信"이라는것은
信望이라고 고쳐 말할 수 있는데 그의 命令이 부하에게
잘 전달되고 지켜저서 정확하게 행동할 수 있도록하는
힘을 가진 指導者를 의미한다.조직은 상하간에 信義가
두터워야 하고 신망이 투철한 指導者가 있어야 조직을
빈틈없이 統率할 수 있으며 組織員의 능력도 더욱 暢達하여
예상이상의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뿐더러 비록 적은
조직일지라도 조직의 힘을 최대한도로 발휘할수 있는
원동력이 된다.極端的 표현이지만 죽음을 각오하고서라도
충성을 다
- 하겠다는 부하를 많이가진 指導者라면
우선 信望이 두터운 지도자로 볼수 있겠다.
- 仁愛
- "仁"이라함은 仁愛라고도
표현하는데 부하를 사랑한다는 뜻이다. 組織이란 戒律과
命令만 으로 統率되는 것이 아니므로 인간이 源泉的으로
지니고 있는 稟性을 움직 이는 힘을 가진 指導者가
필요하다. 사랑은 僞裝된 演劇같은 수단으로 움직여
지지 않으며 진실한 정성과 마음으로 맺어지는 것으로서
상하간에 일심동체가 되게하는 魔力같은 힘으로 뭉치게
해야 한다.어떠한 어려움에 부딪힌다 해도 다같이 解決하려는
마음들이 앞서고 스스로 위험에 뛰어 들려고 하는 분위기에
싸여 있는 組織體가 바람직한 것인데 여기에 核心이
될만한 人物을 指導者로 선택하는 것도 兵略의 하나이다.
- 勇氣
- "勇"은 勇氣인데 決斷性이
있고 일을 추진해 나가는 힘있는 행동을 하는 指導者를
필요로 하고 있다. 머리가 좋고 착하고 믿음직하다
하더라도 適時에 攻擊을 할수있는 결단력이 없으면
종이호랑이라고 할것이다. 용기있는 지도자는 好機를
놓치지 아니하고 승패를 決定지우는 실제적 인물이다.용기
있는 指導者는 부하보다 앞장서서 자신의 영달과 안위를
草芥같이 버리면서 組織의 명예와 부하의 生命을 더욱
더 존중하는 자로서 오히려 부하의 사기를 진작시키고
부하까지도 勇氣있는 組織員으로 만드는역활을 해낸다.상대방을
굴복시킴에 있어서는 말과 글로서도 하지만 무었보다
행동이없으면 않되고 그 행동은 적절한 시기에 이루어
지지 않으면 않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솔선수범하는
勇氣있는 指導者가 조직에 반드시 필요하다.
- 威嚴
- *조직이 중구난방
소란한 것은 지도자의 위엄이 무겁지 않기 때문이다*
- "威"또는 威嚴이라함은
두렵고엄숙함을 말한다. 指導者의 말과 행동은 무게가
있고 嚴肅함을 지녀야 한다는 것인데 조직에 있어서
일단 책임을 맡은 자의 위치에 이르게 되면 가볍게보이거나
만만하게 여겨진다면 命令수행에 큰 不便을 가져온다.혹시
度를 넘어서 情에 치우친나머지 부하의 잘못을 가볍게
처리한다면 조직전체의 規律이 解弛해지고 紀綱이 무너진다.
지도자는 부하직원의 통솔에 賞과 罰을 엄히 할수 있어야만
그 조직 전체가 무너지지 않는다 .이러한 지도자는
모든 면에서 솔선수범하지 않으면 威嚴이 없어진다.
- 이상과같이 信望과 사랑과 威嚴이
갖추어져야 조직의힘을 創出해 낼수 있고 智謀와 勇氣가
있어야 상대를 대항하고 승리를 얻을수 있다는것인데
오늘의 리이더쉽과 같은 것이 모두 이러한 原理에서
나온것이다.
指導者는
믿어야 * 말뚝이라도 지도자는 일단 믿어라*
- 옛날,신발을 사려고한 사람이 自己발의
칫수를 장부에 적어 선반에 얹어 두었다. 하루는 市場을
보고 왔는데도 신발은 사지 않았다.
- "이사람아 장에 간김에 신발을
사가지고 오지 그래 ?" 하고 이웃사람이 물었다
그는 서슴없이 對答하기를
- "칫수를 적은 장부를 가져가지
않았기 때문에 칫수를 잊었지 뭔가 다음날 장부를 가지고
가서 사야지"
- "그러면 직접 자네가 신어보고
사면 되지 않는가"
- "내발은 믿을수 없어 ....그래도
장부에 적어둔것이 확실하단 말이야"
- 平凡無難
- 勞動組合을 하던지 會社를 經營하던지
살아가는 동안에 사람은 지나치게 惰性에 젖어서 매사를
判斷하기 쉽다. 때문에 믿어야 할것은 믿지않고,믿지않을
것은 악착 같이 믿으려한다. 자기가 所屬하고 있는
勞動組合의 指導者나 幹部들이 잘 하다가도 간혹 失手를
하면 가차없이 매도해버리는 習性을 사람마다 다 가지고
있다.
- 天下壯士 李萬基도 자기 몸 하나를
들지 못하지만 그를 蔑視하지 않는다.千里眼을 가진
사람이 자기의 눈섭을 보지 못한다고 그의 능력을 의심할
수 없다.우리는 몇 百年동안 修身濟家를 해야만 治國할
수 있다고 해서 指導者選擇의 尺度로 믿어서 제몸간수
집안단속을 못한다면 무조건 갈아치워야 한다는것이
人之常情이다.더구나
- 배운 사람일수록 우수한 指導者라고
믿기 쉽고 반드시 文書로서 써 두어야만 확실한 것처럼
믿는다.남의 콩은 더 굵어 보이고, 내발은 밉게 생겨
믿을 수도 없는지?
- 指導者는 平凡한 사람이어야만
흠이 없다. 너무 많이 배운 사람이일수록 處身하기가
더 어려우며 外貌가 잘생긴 사람이면 보이지
않게 흠이 있게 마련이고 그 흠이 발각되면 더 커보이게
마련이다. 勞動組合의 指導者는 偶像이 아니다. 위대한
人物이어야만 勞動組合을 이끌어 가는것이 아니다.勞組의
指導者는 반드시 平凡한 組合員중에 있다는 것만은
분명한 眞理이다. 組合員들이 그를 믿어 주고 따라주는
것이 가장 重要한 것이며 비록 그의 결함이 있다하더라도
일단 指導者로서 추대된 이상 服從해야 하는 것이 組織을
위하여 組織員이 지켜야 할 일이다. 勞動組合에 있어서
指導者는 民主主義方式에 의하여 선출되는 것이므로
그 節次를 무시하는 것은 바로 民主主義를 抛棄하려는
意識이 潛在하고 있는 것이므로 우선 그것부터 뽑아버려야
할것이다. 비록 말뚝일지언정 指導者로 選擇한이상
그 任期 동안은 그의 指導力量을 믿고 따라야만 그
組織이 산다.
- * 지도자가
너무 공손하고 은근하며 친절히 말하면 지도력이 약해졌다는
증거이다*
- 權力과 指導者
*
- 지나친 사랑은
조직원으로 하여금 꼭지위에 올라 않게 하는 것이다.*
- 指導者가 되면 책임이 따르는 반면에
여러가지 힘을 지닌다. 이것은 책임을 수행하기 위한
권력을 의미한다.이러한 권력을 둘러싸고 서로 지도자가
되기위한 알력과 모략과 중상과 시기가 일어나기도
하고 지도자를 이용하여 이익을 탐하려는자도 있게
마련이다.
- 八奸
- 이러한 경우, 지도자에게 충고하는
말이 동서고금에 무수하지만 주로 兵法에서 삼 가야할
내용을 종합해보면 韓 非는 八奸[여덟가지 가까이 해서는
않되는것],吳 起 는 五愼[신중한 다섯가지 처신법]
을 각기 독특하게 설명하고 있다. 八奸은 人性의 내면을
깊이 있게 꾀뚤어 보는 것 들이고, 五愼은 實戰을 중심으로한
것이다.
- 첫째,잠자리를 같이하는자의 말,둘째
즐겁게 해주는자의 말,세째 친척과 형제들의 말, 네째
사치스런 친구의 말, 다섯째 재물이나 귀한것을 주는자의
말,여섯째 재치 있게 마음을 사로잡는자의 말, 일곱째
패거리를 지워 호소하는 말, 여덟째 외부세력을 등에
업은 자의 말을 八奸이라고 하는데 지도자가 이러한
말에 귀를 기울이는 사이 그들은 지도자를 등에 태우고
자기의 이익을 도모하는 것이다. 五愼이라 하는것은
올바르게 통솔하는것, 철저하게 방비하는것,판단은
과감할것,항상 경계할것,명령과 행동은 간략할것 등인데
지도자의 위치에 있으면서 이를 이용하여 편파적인
- 행동을 하거나, 방심하고 안일하거나,
우물쭈물하고 갈팡질팡하는 판단을 내리거나, 방탕하고
반성할줄 모르거나, 불필요한 것들을 일일이 챙기는데
마음을 쓰는일이 없도록 하라는것이다. 기러기떼중에
가장 우두머리는 다른 기러기들과 같이 먹이를 잡는데
열중하지 아니하고 오직 동료기러기들이 마음놓고 즐길수
있도록 배고픔도 참으면서 망을 보고 있다가 사냥꾼이
나타나면 즉시 신호를 보내여서 동료들을 항상 보호하는
임무를 수행한다고 하는데 노동조합의 지도자라 하더라도
이러한 경우와무엇이 다르겠는가?
- 지도자가 되었다고 해서"이때
아니면 언제 때가 오겠나?"하고 방자하고 방탕하면서
조합원들 앞에서 거들먹거리는 지도자는 설마 없겠지만
만일 그러한 지도자가 있을 경우에는 그 조직은 참으로
불행한조직이 아닐수 없으며 조속한 시일내에 지도자가
바뀌어 저야만 그 조직이 온전할것이다. 지도자를 불행스럽게
갈아치우는것 만큼은 조직으로서는 크게 삼가하여야할
일이지만 이러한 지도자는 차라리 앞서 말한 말뚝 같은
지도자만도 못한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