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싸워서 승리하는 것보다 더 어려운 일은 없다.

    승리하는 군대는 먼저 이기고 나서 뒤에 싸움을 돋운다. *

  생존은 경쟁이다. 이기는 자가 오직 살아 남아 오늘을 살고 내일을 향락할수있다.
이긴자(勝者)에게는 푸짐한 전리품과 함께 찬사를,진자(敗者)에게는 불행과 더불어
뼈저린 모멸을 안겨주는 그것을 곧 <다툼>이라고 말한다.
 
다툼은 항상 불행을 낳는다. 지난날 인간의 경험으로서는 많은 다툼을 무수히 겪었고
숫한 불행을 수없이 낳았지만 공정하게 쓰여저야 할 역사조차도 불행을 당한 패자의
입장은 두둔하지 않았다. 이긴자[勝者]에게는 더욱 관대하게 쓰는 반면 진자[敗者]
의 기록은 더욱 가혹하게 묘사되어 사실보다 엎친데 덥친격으로 잘못만 더 뒤집어 쒸웠다.
 
왜냐하면 역사는 언제나 이긴자의 전리품중에서도 가장 큰몫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즉,역사[歷史]는 이긴자[勝者]의 영원한 훈장[勳章]인 것이다. 뿐만 아니라 영원히 변치
않고 인간의 사랑을 받는 다는 금덩어리들의 행방도 모두 승자에게 귀속한다고 한다.
 
영광스럽던 황제의 옥좌를 스스로 쌓아올려 천추만대에도 지워지지 아니할 막중한
위업을 이루고도 마지막 다툼<워털루->에서 패해, 절해고도 <센트.헤레나>로 쫓겨나
뼈저린 한조각 한숨으로 일생을 버린 풍운의 병략가 <나폴래옹>에 대해서도, 역사는
적은 동정조차 인색하였을 뿐 아니라 <나폴래옹>이란 사람의 고유한 이름도
독재군주,또는 정복자의 대명사로 불려지게 만들만큼 냉혹하다.
 
다툼의 역사는 곧 인간의 역사이다. <나폴래옹> 정도는 간지스江의 모래알
<恒河砂*> 가운데 한알처럼 그 사례는 무상량[無想量]*으로 많다.
 
국가와 국가간에 다툼은 전쟁[戰爭]이라 하고,개인간의 다툼은 <싸움>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오늘의 산업사회에서의 또하나의 독특한 다툼이 한가지 더 늘었음에 주목한다.
그것은 곧 무리<群>와 무리간의 다툼으로서 이러한 형태의 다툼을 분쟁이라고 한다.
 
이러한 집단간의 분쟁형태도 여러가지가 있는데, 정치적인 견해,경제적인 이익,
사회적 지위를 겨냥하고 다투는 것으로서,서로 복합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다투는
것이 여러 유형이 있다. 예를 들면, 정당끼리, 장사꾼끼리,높은자끼리, 또는
낮은자 끼리, 가진자 끼리, 없는자 끼리, 끼리끼리 싸우는 다툼이 있는가하면,정당과
장사꾼과 높은자와 가진자가 한패거리가 되고,사회적 지위가 낮은者나 없는자가
또 하나의 패거리를 이루면서, 패거리와 패거리끼리 다투는 것도 오늘의 산업사회
에서는 흔히 있는 다툼의 한 모양인 것이다.
 
이러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적으나 크나간에 무리와 무리가 어우러져 다투는 분쟁
중에 대표적이라고 불리는 것이 勞와 使의 분쟁인데 이 양자는 오늘의 산업사회에서는
주인행세를 할만큼 가장 중요한 존재이며 어쩌면 이 사회를 이끌어 나가는 주역이기도
한 때문일 것이다. 곧 노사관계를 산업관계와 동일시 하는것을 보더라도 그들간의 존재를
무시하고서는 이 산업사회가 형성되지도 않으며, 존재하지도 않는다.
                      
        
  노동쟁의차례     앞페이지        다음 페이지   노동도서관
©2007 L.D.C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1997-2007, 노동정보화촉진본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