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이 한덩어리로 뭉처 있으면 죽어도 같이 죽고 살아도 같이 산다.*
* 정신이 깃들지 않으면 쉽게 정복 당한다.
조직에 정신주입을 하려는 이상의 처방은 그 방법이 형식인것 처럼 효과도 형식적인데 그친다.다만 조직의 정신을 빼앗기지 않으려는 보혼[保魂]을 위한방법일뿐이다.
정신 또는 혼이라는 것이 형이상학적이므로 그 방법에 있어서도 상응해야 할것으로서 조직에 참되게 울어나는 정신력을 키우려면 마음에 깊히 호소할 수 있는 매체가 필요하다.
천하의 美文이라고 하는 고린도서13장중 마지막에는"믿음과 所望과 사랑 이세가지.."를 들고 있는데 믿음이라고 하면 의리,신의라고보고 소망이라면 신앙심이라 하겠으나 사랑이라고 하는 것은 서툰 글솜씨로서 한마디로 표현하기가 외람스러우나 살신성인(殺身成仁)을 뜻한다고본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여러가지 욕심을 추가할때도 있다.
신앙을 동원한 예로서 중세 십자군의 끈질긴 성지[聖地]탈환의 역사가 대표적이고"보물선"이란 동화에서 해적일당들이 외발이 (실버)의 욕심을 앞세운 농간에 이끌려서착한(짐)소년을 괴롭히는 장면은 부도덕한 예에 속한다.
조직이 강하고 약한것의 기준을 정함에 있어서는 반드시 정신력을 척도로 할수는 없지만 정신력이 없으면 모든것을 다 가져도 전부를 잃는 것과 같다.
죽어도 같이죽고
마키아벨리는 그의 저서,군주논[君主論]에서 이문제를 명쾌하게 대답하고 있다.
"공화정치의 프랑스는 그 국민을 모두 죽여야만 그 영토나마 차지할수 있고 독제정치의 페르샤는 다만, 다리우스 3세와 그 일족[一族]만 처치하면 그 영토와 국민까지도 모두 다스릴수 있다"고 했다.
조직의 전체가 한 덩어리의 魂으로 뭉쳐 있는 정신력이 있으면 죽어도 같이 죽고 살아도 같이 살수가 있다. 혼빠진 자가 되어 정복자의 가축이 되는것 보다는 스스로 죽음을 택하는 것이 조직원의길 도[道]이며 가추어야 할 가장 기본이 되는 무기[武器]이다.

노동도서관  노동쟁의차례      앞페이지     다음 페이지   

©2007 L.D.C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1997-2007, 노동정보화촉진본부